devops 8

AWS VPC와 Public IP / Private IP 정리

안녕하세요. 작년에 업무적으로 클라우드 환경에 서버를 구축할 일이 생겨 생애 처음으로 클라우드 콘솔을 사용했었습니다. AWS(Amazon Web Services)에서는 EC2 인스턴스 생성시 기본적으로 해당 리전에 VPC를 생성해주고 가용구역(AZ)을 할당해 서브넷을 자동으로 구성해줍니다. 작년 이맘 때만 하더라도 VPC가 무엇인지, 서브넷과 IP대역이 무엇인지 또 NAT의 역할은 무엇이고 IGW는 무엇인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기본 설정으로 작업을 했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검색을 통해 security group이나 network acl이 기본적인 방화벽 설정이라는 점은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최근에 aws korea 유튜브에서 vpc관련 강의를 찾아보고, 구글링을 통해 vpc와..

devops/AWS 2023.06.05

docker를 활용한 web-was 설정하기 (2)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글에서는 was에 기본페이지를 설정하고 /was 경로로 접속 시 웹서버에서 reverse-proxy를 활용하여 was로 마운팅하는 과정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tomcat 이미지를 pull받고 도커 컨테이너로 올려준 후 컨테이너에 접속합니다. docker pull tomcat:latest docker run -it -d -p 8080:8080 --name kylen-tomcat tomcat:latest docker exec -it kylen-tomcat /bin/bash home 디렉터리의 모습입니다. 톰캣 설정을 위해 conf 디렉터리로 이동하여 server.xml 파일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Host의 appBase와 Context 설정을 통해 톰캣의 default roo..

devops/docker 2023.05.31

docker를 활용한 web-was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docker container를 활용하여 간단하게 web-was를 구성하고 웹서버에서 받은 요청을 reverse-proxy를 활용하여 was로 마운팅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위 실습에서 웹서버는 nginx, was는 tomcat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windows 환경이라면 cmd창을, macOS 환경이라면 터미널을 열어주도록 합니다. 1. docker hub에서 nginx와 tomcat의 이미지를 내려받습니다. docker pull nginx:latest docker pull tomcat:latest 2. 설치된 이미지를 컨테이너로 실행시킵니다. docker run -it -d -p 80:80 --name kylen-nginx ngin..

devops/docker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