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kubernetes 3

[k8s] RKE2를 활용한 Kubernetes 환경 구성

k8s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kubeadm, rke2 (rancher kubernetes engine)이 있다.이번 글에서는 그 중 업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rke2를 이용하여 K8S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정리하려고 한다.이번 글에서 다룰 주제는 다음과 같다.RKE2를 이용한 Kubernetes 환경 구축nginx svc 생성 및 NodePort Test(Optional) k9s, longhorn (csi--container storage interface) with helmk8s cluster를 구성할 때 보통은 한 개의 노드에 하나의 Pod를 배포한다.가령 Redis Cluster를 구성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control..

devops/kubernetes 2025.07.22

[k8s] 기본 리소스

1. 기본 리소스 (Core Resources)Pod가장 작은 배포 단위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음. 같은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를 공유함.Node실제 또는 가상의 머신. Kubernetes 클러스터의 워커 노드로, Pod가 실제로 실행되는 장소.Namespace클러스터 내 리소스를 가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단위. 멀티테넌시 구현에 활용됨.ServicePod 집합에 대한 네트워크 접근을 제공하는 추상화. LoadBalancer, ClusterIP, NodePort 등이 있음.VolumePod 간 데이터 공유 및 영속성을 제공하는 저장소. 다양한 유형(CSI, emptyDir, hostPath 등)이 있음. Volume의 경우 PV와 PVC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PV (Persistent ..

devops/kubernetes 2025.07.19

[CKA] Container & Orchestration

개발자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Public Cloud 사용과 더불어 Cloud Native Architecture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이 반드시 필요할 듯 하다. 꼭 MSA가 아니더라도 자동화와 관리의 측면에서 k8s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업무상 필요하기도 하지만, 평소에도 관심이 있었기에 이번 기회에 CKA를 취득해보려고 한다. 2달 정도 열심히 공부해보자.k8s는 아무래도 그 동안 업무에서 devops engineer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beginner course 부터 시작하여 차근차근 내용을 정리해나갈 것이다.강의 내용을 정리하기 전에 Container와 Container Orchestration의 의미에 대해 AI에게 질의해보았다.Contai..

devops/kubernetes 2025.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