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6

25년 7월 생각 정리

퇴근 후에 유튜브를 시청하다가 누군가가 남긴 좋은 댓글을 발견해서 기록에 남긴다. 직장이 아닌 직업이라는게 개발의 장점이라고 봅니다. 언제든지 빡치게 하면 때려칠 수 있다 라는 것이죠. 따라서 회사가 아닌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돈 이상으로 회사에서 나에게 제공해 주는것 자체에 기대를 하지 않습니다. 물론 회사에서 일하게 되면 업계 생리에 대한 배움 사람에 대한 배움 도 있습니다 그것만 해도 개발자 로서 얻는게 많다라고 생각합니다.(받아들이는 마인드가 다름) 회사에서 주는 그 돈 먹고 생계를 유지하면서 알아서 내 "스스로 장단기 미션" 을 '먼저' 짜고 그것에 맞춰서 필요한 공부를 알아서 찾아서 하는 것입니다. 막연히 이게 대세야 이게 나왔어 이게 좋은것 같아 가 아니라 내가 1년..

philosophy & daily 2025.07.25

[k8s] RKE2를 활용한 Kubernetes 환경 구성

k8s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kubeadm, rke2 (rancher kubernetes engine)이 있다.이번 글에서는 그 중 업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rke2를 이용하여 K8S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정리하려고 한다.이번 글에서 다룰 주제는 다음과 같다.RKE2를 이용한 Kubernetes 환경 구축nginx svc 생성 및 NodePort Test(Optional) k9s, longhorn (csi--container storage interface) with helmk8s cluster를 구성할 때 보통은 한 개의 노드에 하나의 Pod를 배포한다.가령 Redis Cluster를 구성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은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control..

devops/kubernetes 2025.07.22

[k8s] 기본 리소스

1. 기본 리소스 (Core Resources)Pod가장 작은 배포 단위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음. 같은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를 공유함.Node실제 또는 가상의 머신. Kubernetes 클러스터의 워커 노드로, Pod가 실제로 실행되는 장소.Namespace클러스터 내 리소스를 가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단위. 멀티테넌시 구현에 활용됨.ServicePod 집합에 대한 네트워크 접근을 제공하는 추상화. LoadBalancer, ClusterIP, NodePort 등이 있음.VolumePod 간 데이터 공유 및 영속성을 제공하는 저장소. 다양한 유형(CSI, emptyDir, hostPath 등)이 있음. Volume의 경우 PV와 PVC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PV (Persistent ..

devops/kubernetes 2025.07.19

[CKA] Container & Orchestration

개발자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Public Cloud 사용과 더불어 Cloud Native Architecture에 대한 이해와 적용 능력이 반드시 필요할 듯 하다. 꼭 MSA가 아니더라도 자동화와 관리의 측면에서 k8s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업무상 필요하기도 하지만, 평소에도 관심이 있었기에 이번 기회에 CKA를 취득해보려고 한다. 2달 정도 열심히 공부해보자.k8s는 아무래도 그 동안 업무에서 devops engineer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beginner course 부터 시작하여 차근차근 내용을 정리해나갈 것이다.강의 내용을 정리하기 전에 Container와 Container Orchestration의 의미에 대해 AI에게 질의해보았다.Contai..

devops/kubernetes 2025.06.24

[Java] CompletableFuture

이번 글에서는 Java 8부터 도입된 CompletableFuture에 대해 정리한다. CompletableFuture 란?자바 진영에는 비동기 처리를 위해 Java 5에 도입된 Future 가 존재한다. 하지만 Future는 예외 처리가 불가능하고, 다수의 비동기 작업을 조합할 수 없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이를 해결하고 보다 나은 개발을 위해 Java 8부터 CompletableFuture가 도입되었다고 보면 된다.CompletableFuture는 Future를 기반으로 보다 확장된 형태의 비동기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다수의 비동기 작업을 조합 가능예외처리 혹은 콜백을 위한 메서드 사용 가능Future와 달리, Blocking 로직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콜백 메서드를 통해 비동기에 대한 ..

development/java 2025.04.01